|

사치스러운 생활이 오히려 도움 되는 경우

어느 날 분석 심리학자 이부영에게 한 부인이 찾아왔습니다.

분석심리학에서는 꿈을 통해 무의식을 관찰하고, 해결책을 제안하는데요.

이부영 교수는 그녀의 꿈을 관찰하고, “화려한 옷을 입고 물질적인 데도 관심을 가지려고 노력해야 한다”라고 판단했습니다. 그가 왜 이런 판단을 내렸을까요? 우선 부인이 꾼 꿈 이야기를 들어봅시다.

[부인의 꿈 이야기]

이부영 교수는 그녀에게 “당신 마음속에도 물질적이고 사치를 좋아하는 마음이 있군요.”라고 말했습니다.

왜냐하면, 꿈속에서 자아(dream-ego)는 그 물질적이고 사치스러운 친구를 의식에서와 달리 약간 부러워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녀는 마지못해 “그럴지도 모르지요”라고 대답했습니다. 하지만 다음 순간 “그래도 나는 그런 생활을 좋아하지 않아요”하고 단언했습니다. 그녀가 왜 이렇게 반응했을까요?

[자기 그림자를 견뎌야 하는 이유]

왜냐하면, 자아가 싫어하는 모습이 자기 마음속에 있다는 지적은 받아들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분석 심리학에서는 이러한 마음을 견뎌내야 한다고 보죠.

자기 그림자를 본 다음에는, 이를 의식에 ‘의도적’으로 꺼내야 하는데요. 이 과정이 정말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그림자를 꺼내는 걸 연습할수록 자연스러워지거든요.

그림자의 의도적 표현은 훨씬 덜 해롭습니다. 작은 감정 폭발은 오히려 억눌린 감정의 대폭발을 막아주죠.

[이부영 교수가 제안하는 해결책]

이러한 맥락에서 이부영 교수는 부인에게 꿈에서 동창생과 같은 욕구가 있다는 걸 인정하고, 그 욕구를 살리라고 조언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조언이 나쁜 사람이 되라고 권하는 일은 아닐까요? 이에 이부영 교수는 답합니다.

나쁜 사람이 되라는 말이 아닙니다. 다만, 내가 무의식적으로 억압하고 받아들이지 못하는 면이 있다면, 그 그림자가 더 진해지기 전에 표현해야 한다는 거죠.

[완전하기보다 온전한 인간이 되자]

사람은 완전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온전한 인간일 수는 있겠죠. 이와 관련해 분석심리학자 칼 융은 말합니다.

참고 자료
이부영, <그림자>

여정
여정
크리에이터 성장과 관련한 콘텐츠를 만듭니다.

관련 아티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