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히스 레저가 매력적인 악역인 조커를 만들기 위해 사용한 방법

매력은 만들어진다
매력은 타고나기도 하지만, 의도적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히스 레저가 좋은 예입니다. 히스 레저는 영화 <다크 나이트>에서 조커 역할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받은 배우입니다. 그는 매력적인 악역인 조커를 만들기 위해 다이어리에 자료를 모으기 시작했습니다.

YouTube, BroadviewPictures, <Heath Ledger’s Joker Diary / Too Young To Die / Broadview Pictures> 중

무드 보드는 감정을 눈에 보이게 만든다
히스 레저가 매력적인 인물을 만들기 위해 사용한 이 방법을 ‘무드 보드’라고 말합니다. ‘무드 보드’는 감정을 바탕으로 다양한 자료를 모으는 방법인데요.

모을 자료가 책이든, 사진이든, 목소리든 느낌을 감각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라면 상관없습니다. 방법을 자세히 알아봅시다.

STEP 1. 무드 보드로 ‘정확도’를 높인다
무드 보드를 만드는 이유는 ‘~ 느낌’인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내가 연기할 조커가 ‘어린아이와 같은 순수한 악’인지, ‘치밀하고 계산된 악’인지 표현하려면 스스로 정확히 이해해야 하죠.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미즈노 마나부는 ‘~느낌’의 정확도를 높이는 사람이 브랜딩을 잘한다는 말을 남겼습니다.

STEP 2. 모은 자료를 묶어 단어를 만든다
무드 보드 만들 때 단어까지 생각하면, 느낌을 그리기 더 쉬워집니다. 모은 자료를 분류해서 이름을 붙이는 거죠. 고른 단어는 3가지를 넘어서는 안 됩니다. 선택을 해야 방향이 서기 때문입니다.

STEP 3. 스토리로 느낌을 구체화한다
히스 레저는 이렇게 무드 보드로 인물을 구체화한 다음에 스토리를 썼습니다. ‘내가 조커라면 어떻게 일기를 적을까?’ 상상해 보는 거죠. 브랜딩에서도 쓰는 방법인데요. 사소한 부분까지 구체적으로 적으면 됩니다.

STEP 4. 코어 타깃을 정한다
앞선 방법까지는 개인이 매력을 구체화하는 방법이었는데요. 브랜드가 매력을 만드는 방법도 같습니다.
‘코어 타깃’을 정하고 스토리를 만들면 됩니다. 아시아 대표 브랜딩 에이전시, 마크 켄시어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나다움은 만들어진다
개성을 타고난 사람도 있겠지만, ‘나다움’을 만들어 나갈 수도 있습니다. 타고난 가수 엘비스 프레슬리마저도 자기 개성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죠. 친구 제리 실링(Jerry Schilling)은 그가 자신이 본 사람 중 가장 폭넓게 배우는 사람이라고 했습니다. 한 날은 엘비스가 제리에게 길거리 지나가는 사람을 보며 이렇게 말하기까지 했습니다.

여정
여정
크리에이터 성장과 관련한 콘텐츠를 만듭니다.

관련 아티클